본문 바로가기
History

명13릉 만력제의 무자비(無字碑)에 관한 오해

by Mr. Trollope 2013. 1. 11.

북경에서 서북쪽 창평현에 천수산(天壽山)이 있고이 산속에는 명 왕조의 13명의 황제의 능이 모여 있는데 이곳을 명13(明十三陵)이라고 부른다13릉에는 태조 홍무제와 혜제 건문제를 제외하면 모두 이곳에 묻혀모두 13명의 황제와, 23명의 황후, 2명의 태자, 30여명의 비빈, 1명의 환관이 있으며그중에서도 정릉은 13릉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화려해서13릉의 대표 얼굴이라고 해도 지나침이 없다또한 명13릉의 대표인 정릉에서 다시 대표적인 얼굴이라고 한다면 만력제의 신공성덕비인데 이것이 그 유명한 무자비(無字碑)이다.





무자비(無字碑)는 말 그대로 아무런 글자가 새겨져 있지 않은 비석이라는 뜻이다전하는 말에 따르면만력제 자신이 생각하기에 공적이 너무 크고 많아서 이곳에 다 새길 수 없다 그런 생각에서 무자비(無字碑)를 세운 것이다 라고도 하고또는 만력제가 여기에 자신의 공덕을 기록하라고 신하들에게 명령했지만실제로 그가 한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결국 기록할 것이 전혀 없어서 무자비(無字碑)가 되었다 라고도 한다만력제의 태만이야 워낙 유명하고그렇기 때문에아무것도 해논 것이 없어서 기록할 것도 없다라는 이야기가 재미있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무자비(無字碑)는 그렇게 신기한 것이 아니고공덕비가 무자비(無字碑)인 것이 만력제만 있는 것도 아니다사실 어떻게 보자면 무자비(無字碑)야말로 훨씬 보편적인 것이고 글자를 새기는 것이 희귀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을 정도다.


무자비(無字碑)는 비록 만력제의 것이 가장 유명하기는 하지만만력제 이외에도 무자비(無字碑)는 꽤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일반적으로 5개의 무자비(無字碑)가 유명한데 그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경우가 바로 섬서성 함양시에 위치한 당 고종과 측천무후가 함께 묻힌, 건릉(乾陵)의 무자비(無字碑)이다물론 여기에는 측천무후 曰: 자신의 공덕이 커서 너희들이 기록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무자비(無字碑)를 세우게 했다 라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기는 하다이건 만력제의 스토리 중 첫번째와 같다그 외에도비수전투(淝水之戰)에서 8천의 군대로 100만을 물리친 것으로 유명한 사안(謝安)의 무덤이 남경에 위치해 있는데 그의 비석도 아무런 글자가 새겨져 있지 않아 즉무자비(無字碑)이다. (단 현재에는 찾을 수 없다)





사실 명13릉에 위치한 황제의 신공성덕비는 모두 무자비(無字碑)이다. 이곳을 처음 건설한 영락제의 장릉(長陵)을 제외하면인종 홍희제의 것부터 마지막 황제 숭정제의 것까지 모두 글자가 없다이것의 원인은 명 태조 홍무제로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본래 명 태조 홍무제는 황제가 사망한 뒤에 신하들이 황제의 공과를 평가하고 여기에 대해 운운하는 것을 원치 않았다. 때문에 그의 비문을 지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후대 황제만 가능하도록 명령을 내렸고, 때문에 홍무제의 공덕비에 적힌 글은 그의 아들인 성조 영락제가 지었다당연히 영락제의 사후에 그의 공덕비는 다시 그의 아들인 인종 홍희제가 지은 것이다. 하지만 영락제 이후에는 명대 황제의 능이 모두 북경으로 옮겨졌고홍무제의 능(孝陵)은 남경에 남았기 때문에, 비문(碑文)이 남아 있는 공덕비는 13릉에는 오직 영락제의 장릉만 갖게 된 것이다그렇다면 그 이후에는 왜 글자가 없게 된 것일까설마하니 인종 홍희제가 만력제만큼 무능하고 태만하였기 때문이었을까그 답은 무덤의 양식 때문이다인종 홍희제의 무덤 이후부터는 능에 비석과 그것이 위치한 비정(碑亭)을 세우지 않게 된 것이비석이 없으니 당연히 비문이 있을 리가 없다


이 전통은 이후에 세종 가정제가 즉위할 때까지 계속해서 이어져 내려왔다가정제가 황제가 된 이후에야 자신의 능을 건설할 때 비정(碑亭)을 짓기 시작하였는데, 아마도 호광에서 출생하여 화북지역의 능묘 양식에 익숙하지 않은 가정제가 자신에게 친숙한 방식을 따르기로 결심한 것에서 비롯한 것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새로운 무덤 양식을 적용하려고 하자 대신들은 상소하여 역대 황제들이 전부 비정(碑亭)이 없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가정제의 무덤에 비석이 세워지기 위해서는 당연히 전대의 황제들의 능에도 모두 비정(碑亭)을 세워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홍무제의 비문을 영락제가 짓고영락제의 비문을 홍희제가 지은 전례에 따라마찬가지로 여기에 적힐 비문을 황제가 지어줄 것을 요청하였다하지만 가정제가 비정(碑亭)을 세운 목적에는 그런 귀찮은 일까지 원한 것이 아니었다. 끝내 그는 전대 황제 7명에게 비석만 세워주고는 비문을 지어주지 않아, 결국 모두 글자가 없는 무자비(無字碑)만 세워지게 되었다그 외에도 가정제가 비문을 적지 않은 이유를 그가 도가(道家)에 빠져 있어서, 비문을 적는 것에 반대했다는 설이 있다. 가정제의 사후그의 뒤를 이은 황제들은 전대의 황제가 모두 글자가 없는 무자비(無字碑)인 선례를 따라 역시 마찬가지로 비문을 새기지 않았고 그래서 명 13릉에는 무자비(無字碑)만 세워진 무덤으로 채워지게 되었고 이것이 만력제에게까지 이어진 것이다. 


어찌보면 명13릉에서 만력제의 정릉의 무자비(無字碑)만 이렇게나 유명한 명성을 갖게 된 것은 좀 억울해 보일 수도 있겠다하지만 지금껏 대중에게 공개된 것은 영락제의 장릉과 만력제의 정릉뿐이기 때문에 두 무덤 주인 사이의 대비 때문에 이렇게 오명을 뒤집어 쓰게 된 것일수도 있다. 명 왕조의 전성기 황제와 왕조를 몰락시킨 암군 F4의 대표라는 구도는  너무나도 재미있는 화제거리이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에는 만력제의 정치적 활동을 배경하여 꽤 재미난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는 것, 그리고 명13릉이 북경과 가깝고, 또 만력제의 무덤이 매우 크고 화려하며무엇보다도 보존상태가 훌륭해서 유독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받아야 했었다는 이유 때문에 그래서 더욱 명성을 누리게 되었던 것은 아닐까.